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후기!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후기!

벼락치기로 공부해본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시험후기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원래 이전 직장에서 Developer를 따려고 계속 공부 중이었지만, 중간에 이직도 하고 적응하느라 시험 준비를 점점 뒤로 미루었다.

현 직장에서는 AWS를 계속 사용 중이라 AWS 자격증 하나 정도 따려고 오랜만에 공부자료 좀 찾아봤는데 … 공부한 내용을 당연히 전부 잊어버렸다.

Developer는 (내 기준에서) 각 서비스에 대한 디테일한 설정, 개념 등에 대해 알아야 하고 실습도 필요해 공부 기간 좀 더 길어질 것 같았다.

나의 상황에서 빨리 공부해서 딸 수 있는 자격증은 AWS의 여러 서비스를 어느 상황에 알맞게 사용하는지 등을 요구하는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라고 생각이 들었다.

AWS의 어느 서비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내용은 전 직장, 현 직장에서 실무를 하며 대략적인 느낌을 알고 있기 때문에 개념을 먼저 보기보다는 덤프를 풀면서 이해 안 되는 부분 위주로 추가 공부를 하자! 라고 생각하고 공부 기간은 한 2주 정도로 잡고 덤프만 풀었다.

(게을러서 실질적인 공부 기간은 일주일 정도 된다..)

이번 시험장도 Cloud Practitioner 자격증 시험을 본 종로 솔데스크로 잡았다.

역시, 신분증 검사를 진행할 때는 2가지의 신분증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신분증이 어디 갔는지 찾아도 없어서.. 영어 이름이 들어간 신용카드와 여권을 가져갔다..

시험장은 이전 방과 다르게 쫌 큰 방에서 봤다.

역시 컴퓨터로 시험을 봤는데 개인용 독서실 책상 같은 느낌으로 책상의 앞, 양옆이 되게 높아서(컨닝 방지!) 시험화면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소음에 예민한 사람을 위해 3M 헤드셋도 있었다. 한번 써봤는데 아무것도 들리지 않아서 시험을 잘 집중해서 볼 수 있었다.

※ 한글로 신청하면 한글 / 영어로 문제를 볼 수 있고, 영어로 신청하면 영어로만 볼 수 있다니 AWS 자격증 시험을 볼 사람을 알아두자!

시험 시간은 총 130분이며, 문제 수는 65개이다.

문제의 유형은

어떤 상황을 주고 어떤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가?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은 어떤 서비스인가?

와 같은 유형이 대부분이었다.

Cloud Practitioner와 비슷하지만 좀 더 심화된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덤프에서 너무 많이 나와버려서 후딱 풀고 제출해버렸다..

결과는 합격 ! 😁😁

AWS의 상위 자격증에 합격하면 하위 자격증에 대한 유효기간이 상위 자격증과 동일하게 연장된다.

Cloud Practitioner는 가장 기초가 되는 자격증으로 Solutions Architect를 취득하니 Cloud Practitioner의 자격증도 연장되었다.

다음에는 Developer - Associate 또는 Professional 중 하나를 딸 것 같다!